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싱크홀 사고, 우리 동네는 괜찮을까?(+서울 싱크홀 위험지역 리스트)

by 렛제이드 2025. 5. 8.
반응형

 

 


최근 강동구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는 지금 생각해도 너무 무서운데요, 평소라면 아무렇지 않게 걷던 길인데 갑자기 땅이 꺼져버린다는 생각을 하니 등골이 서늘해지더라고요. 뉴스를 보는 내내 '내가 사는 동네는 괜찮을까?' 하는 걱정이 머릿속을 떠나질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와 비슷한 걱정을 하고 계실 분들을 위해, 싱크홀 사고의 주요 원인부터 서울시 내 싱크홀 위험 지역까지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혹시 나도 모르게 위험한 지역을 지나다니고 있는 건 아닐까?  저도 조사하면서 정말 놀란 부분이 많았거든요.

궁금했던 분들은 오늘 포스팅을 끝까지 읽어주세요. 

 


ㅣ싱크홀, 왜 생기는 걸까? 주요 원인 분석

 

싱크홀은 말 그대로 '땅이 가라앉아 구멍이 뚫린 것'을 의미합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인공적인 요인으로 인한 싱크홀이 훨씬 많아졌습니다. 특히 도심지에서는 인프라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그 위험이 더 커지는데요, 대표적인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하수 유출과 지반 약화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땅속 빈 공간이 생기고, 이 공간이 지탱할 힘을 잃으면 표면이 붕괴하면서 싱크홀이 발생합니다. 특히 비가 많이 오거나 지하수 관리를 소홀히 하면 위험성이 커집니다.

2. 노후화된 상하수도관 파손
서울처럼 오래된 도시에서는 상하수도관이 노후된 경우가 많은데요, 오래된 관이 터지거나 미세하게 물이 새면 지반이 서서히 약해져 싱크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지하공사 및 지하철 공사
지하철 노선 확장이나 대규모 건축공사가 있을 때 지하를 많이 파내야 합니다. 이때 지반을 제대로 보강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싱크홀이 생기기도 합니다.

4. 토질 자체의 문제
지반이 모래나 자갈처럼 느슨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 싱크홀 위험이 더 높습니다. 특히 예전에는 강이나 하천이었던 지역을 매립한 곳이라면 지반이 더욱 약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싱크홀은 단순히 운이 나빠서 생기는 게 아니라, 여러 인프라 관리 문제와 지질 구조상의 이유가 복합적으로 얽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ㅣ서울에서 싱크홀 위험이 높은 지역은 어디일까?

 

서울시는 지난 몇 년간 싱크홀 발생 위험을 조사해 '싱크홀 취약 지역'을 따로 선정한 바 있습니다. 물론 싱크홀이 반드시 발생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위험이 높다는 뜻이니 평소에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ㅣ싱크홀 위험 지역 

 

강남구

언주로 (압구정동 477 - 개포동 1282-5)

선릉로 (구룡마을입구 교차로 - 압구정동 507)

 

구로구

고척동 76 - 368

구로동 712 - 8

고척동 76 - 74  /  77 - 5

 

광진구

자양 1.2동 일대 등

 

구의1동 일대(구의동 640-6 등)

구의2동 일대(구의동 75-1 등)

 

능동,군자동 일대(구자동 49-1 등)

 

화양동 일대(화양동 37-82 등)

화양동 111-117번지 일원

화양동 18-12번지 일원

 

광장동 188-2번지 일원

 

자양4동 43-44번지 전통시장 공영주차장

자양4동 72-1번지 일원

자양4동 57-153번지 일원

자양4동 8-8번지 일원

자양2동 680-63번지 일원

자양동 621번지 일원

 

구의1동 252-95번지 일원

구의1동 246-10번지 일원

구의2동 63-7 외 2필지 일원

 

중곡4동 93-13 외 6필지 일원

중곡1동 587-6 외 5필지 일원

중곡3동 695 외 2필지 일원

 

강변역 2번출구 테크노마트 사이

 

 

 

금천구

가산동 343 - 8  / 481 - 11

가산동 535 - 155  / 459 - 5

가산동 547 - 81  / 371 - 12

가산동 557 - 4  / 356 - 5

가산동 6801  / 505 - 3

가산동 327 - 18  / 569 - 21

 

시흥동 911 / 930 - 56

 

 

노원구

광운로 2나길

한글비석로20길, 덕릉로83길

 

 

마포구

고산16길 (대흥동 20 - 24 / 22 - 45)

연남로1길 (연남동 564 - 37 / 567 - 34)

 

 

성동구

도선동 35 - 2  / 567 -34

행당동 286 - 3  / 128 - 22

성수동 1가 670 - 27 / 656 - 292

 

 

종로구

연건동 187 - 1 / 효제동 98

 

효제동 69 - 7 / 103

효자동 25  /  150

 

인사동 232 - 종로2가 9

 

종로2가 11 - 1 

종로2가 25

종로2가 23 - 인사동 170

 

관훈동 192 - 13 견지동 95

 

소격동 73 

 

재동 12

재동 25 - 4 / 109

 

 


ㅣ싱크홀 사고를 막으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

 

사실 일반 시민이 싱크홀 발생을 100% 막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방법을 통해 위험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는 있습니다.

 

+ 도로에 균열이나 움푹 패인 곳이 보이면 가까이 가지 않고 관할구청이나 120 다산콜센터에 신고하기

+ 장마철이나 대규모 공사 지역 인근에서는 보행 시 주의하기

+ 차량 운전 시 도로 함몰 주의 안내가 있을 경우 우회하거나 속도를 줄이기

+ 집 주변이나 학교, 회사 주변의 싱크홀 위험 여부를 미리 체크해두기

+ 특히 최근처럼 사고가 자주 보도될 때는 주변 지반 상태를 더욱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